2023년 K리그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K리그1은 K리그1의 41번째 시즌이다. 울산 HD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포항 스틸러스, 광주 FC, 전북 현대 모터스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및 챔피언스리그 2에 진출했다. K리그2에서는 광주 FC와 대전 하나 시티즌이 승격하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강등되었다. K리그1 10위와 11위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잔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 축구 리그 - 2023년 K리그2
2023년 K리그2는 13개 팀이 참가하여 김천 상무가 우승하고 부산 아이파크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으며, 루이스 미나가 득점왕, 발디비아가 도움왕과 MVP를 수상한 시즌이다. - 2023 축구 리그 - 2023년 WK리그
2023년 W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한 대한민국 여자 축구 리그의 15번째 시즌으로,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가 우승하며 2024-25 AFC 여자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다. - K리그1 시즌 - 2020년 K리그1
2020년 K리그1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축소 운영되었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우승하고 상주 상무와 부산 아이파크가 강등된, 12개 팀이 참가한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 38번째 시즌이다. - K리그1 시즌 - 2024년 K리그1
2024년 K리그1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울산 HD의 우승과 포항 스틸러스의 코리아컵 우승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정규 라운드와 파이널 라운드 진행 및 개인상 시상이 있었다. - 2023년 대한민국 - 한-태평양 도서국 정상회의
한-태평양 도서국 정상회의는 대한민국과 태평양 도서국 포럼 회원국 간 협력 증진을 위한 정상급 회의로, 2023년 서울에서 제1차 회의가 개최되어 18개국이 참가, 기후 변화, 개발 협력, 해양 안보 등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 2023년 대한민국 - 2023년 KBO 리그
2023년 KBO 리그는 샐러리캡 신설, 2연전 폐지, 막대 풍선 반입 금지 등 규정 변경과 감독진 변화 속에서 LG 트윈스가 정규 시즌 1위 및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다.
2023년 K리그1 | |
---|---|
기본 정보 | |
대회 | 하나원큐 K리그1 |
시즌 | 2023 |
날짜 | 2023년 2월 25일 ~ 2023년 12월 3일 |
결과 | |
우승 | 울산 현대 (4번째 우승) |
강등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대륙 대회 진출 |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 울산 현대포항 스틸러스광주 FC |
AFC 챔피언스리그 2 | 전북 현대 모터스 |
통계 | |
총 경기 수 | 174 |
총 득점 | 447 |
최다 득점 경기 | 서울 7-2 수원 FC (2023년 7월 12일)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광주 5-0 인천 (2023년 3월 18일)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수원 FC 0-5 제주 (2023년 5월 14일) |
최다 연승 | 울산 현대 (6경기) |
최다 무패 | 광주, 포항 스틸러스 (각 9경기) |
최다 무승 | 강원 (15경기) |
최다 연패 | 수원 삼성 블루윙즈 (5경기) |
최고 관중 | 45,007명 (서울 3-0 대구, 2023년 4월 8일) |
리그 득점왕 | 주민규(울산 현대 FC)치아고 오로보(대전) (각 17골) |
최우수 선수 | 김영권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22 |
다음 시즌 | 2024 |
2. 운영 방식
K리그1 최하위팀과 K리그2 우승팀 간의 자동 승강은 유지되지만, K리그1 11위와 K리그2 2위는 자동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K리그2 플레이오프는 3위부터 5위까지의 팀을 대상으로 열리고,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1 10위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따라서 시즌당 최대 3팀까지 승강이 될 수 있다.[1] 2023년은 평년과 같이 정규 시즌 33경기와 순위 결정 리그 5경기를 합쳐 총 38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1]
2023년 K리그1에는 12개 구단이 참가한다. 2022년 K리그2에서 우승한 광주 FC와 2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대전 하나 시티즌이 K리그1으로 승격했다.[1] 반면, 2022년 K리그1에서 11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김천 상무와 12위를 기록한 성남 FC는 2023년 K리그2로 강등되었다.[1]
3. 참가 구단
K리그1 2023 시즌 참가 구단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구단 홈 경기장 수용 인원 이미지 강원 FC 강릉종합운동장춘천송암스포츠타운 22,33320,000 광주 FC 광주축구전용구장 10,051 대구 FC DGB대구은행파크 12,415 대전 하나 시티즌 대전월드컵경기장 40,903 전북 현대 모터스 전주월드컵경기장 36,781 FC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66,704 수원 FC 수원종합운동장 11,808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월드컵경기장 43,959 울산 현대 울산문수축구경기장 44,102 인천 유나이티드 인천축구전용경기장 20,891 제주 유나이티드 제주월드컵경기장 29,791 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야드 17,443
각 구단의 연고지와 홈 경기장 위치는 다음과 같다.클럽명 현지 표기 영어 표기 홈타운 홈
경기장지난 시즌 순위 감독 공식
스폰서서브
라이어가맹
연도울산 현대 울산 현대 호랑이 Ulsan Hyundai FC 울산광역시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 우승 홍명보 현대중공업 아디다스 1984년 전북 현대 모터스 전북 현대 모터스 Jeonbuk Hyundai Motors 전라북도전주시 전주월드컵경기장 2위 단 페트레스쿠 HYUNDAI 험멜 1994년 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 Pohang Steelers 경상북도
포항시포항 스틸야드 3위 김기동 POSCO 카파 1983년 인천 유나이티드 FC 인천 유나이티드 FC Incheon United 인천광역시 인천 축구 전용 경기장 4위 조성환 인천광역시 마크론 2004년 제주 유나이티드 FC 제주 유나이티드 FC Jeju United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월드컵경기장 5위 남기일 SK에너지 푸마 1983년 강원 FC 강원 FC Gangwon FC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송암스포츠타운
강릉종합운동장6위 윤정환 강원특별자치도 호마 2009년 수원 FC 수원 FC Suwon FC 경기도수원시 수원종합운동장 7위 김도균 수원시 험멜 2016년 대구 FC 대구 FC Daegu FC 대구광역시 DGB대구은행파크 8위 최원권 대구광역시 켈미 2002년 FC 서울 FC 서울 FC Seoul 서울특별시 서울월드컵경기장 9위 안익수 GS그룹 프로스펙스 1984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 Suwon Samsung
Bluewings경기도수원시 수원월드컵경기장 10위(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김병수 삼성전자 아디다스 1996년 광주 FC 광주 FC Gwangju FC 광주광역시 광주축구전용구장 2부 리그 1위 우승 이정효 광주광역시 켈미 2010년 대전 하나 시티즌 대전 하나 시티즌 Daejeon Hana Citizen 대전광역시 대전월드컵경기장 2부 리그 2위(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이민성 하나은행 아스트레 1997년
3. 1. 승격 구단과 강등 구단
2022년 K리그1에서 11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김천 상무와 12위를 기록한 성남 FC는 2023년 K리그2로 강등되었다.[1] 2022년 K리그2에서 우승한 광주 FC와 2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대전 하나 시티즌은 2023년 K리그1으로 승격되었다.[1]
3. 2. 구단 목록
클럽 | 지난 시즌 순위 | 첫 리그 참가 | 총 시즌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좌석 |
---|---|---|---|---|---|---|
강원 FC | 6위 | 2008 | 12 | 강원 | 강릉종합경기장 춘천송암스포츠타운 | 20,000 |
광주 FC | K리그2 우승 | 2011 | 8 | 광주 | 광주축구전용구장 | 10,000 |
대구 FC | 8위 | 2002 | 18 | 대구 | DGB대구은행파크 | 12,000 |
대전 하나 시티즌 | K리그2 2위 | 1997 | 19 | 대전 | 대전월드컵경기장 | 40,900 |
FC 서울 | 9위 | 1984 | 40 | 서울 | 서울월드컵경기장 | 66,70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위 | 1996 | 28 | 수원 | 수원월드컵경기장 | 43,959 |
수원 FC | 7위 | 2016 | 4 | 수원 | 수원종합운동장 | 11,808 |
울산 현대 | 우승 | 1984 | 40 | 울산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43,554 |
인천 유나이티드 | 4위 | 2004 | 20 | 인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20,300 |
전북 현대 모터스 | 준우승 | 1995 | 29 | 전북 | 전주월드컵경기장 | 36,781 |
제주 유나이티드 | 5위 | 1983 | 40 | 제주 | 제주월드컵경기장 | 20,000 |
포항 스틸러스 | 3위 | 1983 | 41 | 포항 | 포항스틸야드 | 17,443 |
광주 FC와 대전 하나 시티즌은 2022년 K리그2에서 승격하였고,[2] 김천 상무 FC와 성남 FC는 2023년 K리그2로 강등되었다.
K리그2에서 승격 | K리그2로 강등 |
---|---|
4. 감독, 주장, 유니폼 스폰서
클럽 | 감독 | 킷 스폰서 | 메인 스폰서 | 주장 |
---|---|---|---|---|
강원 FC | 윤정환 | 필라 | 하이원리조트 (앞), 강원한우(뒤) | 한국영 |
광주 FC | 이정효 | 켈미 | 광주광역시(앞), 중흥 S-클래스(뒤) | 안영규 |
대구 FC | 최원권 | 골 스튜디오 | 대구은행, 아진산업 | 세징야 |
대전 하나 시티즌 | 이민성 | 아스토레 | 하나금융그룹 | 주세종 |
FC 서울 | 김진규 (대행) | 프로스펙스 | 자이 (아파트), GS칼텍스 | 오스마르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염기훈 (대행) | 푸마 | 삼성전자(앞), 도이치모터스(뒤) | 김보경 |
수원 FC | 김도균 | 험멜 | 수원시, 선인자동차, IBK 기업은행 | 이영재 |
울산 현대 | 홍명보 | 아디다스 | 현대오일뱅크 | 김기희 |
인천 유나이티드 | 조성환 | 마크론 | 인천광역시, 신한은행, 인천경제자유구역 | 오반석 |
전북 현대 모터스 | 단 페트레스쿠 | 아디다스 | 현대자동차 | 홍정호 |
제주 유나이티드 | 정조국 (대행) | 필라 | SK 에너지, 제주 삼다수 | 임채민 |
포항 스틸러스 | 김기동 | 푸마 | 포스코 | 김승대 |
5. 감독 변화
구단 | 전임 감독 | 형태 | 일자 | 당시 순위 | 신임 감독 | 일자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이병근|李柄根한국어 | 경질 | 2023/4/17 | 12위 | 최성용|崔成勇한국어 (대행) | 2023/4/18 |
전북 현대 모터스 | 김상식|金相植한국어 | 자진사임 | 2023/5/4 | 10위 | 김두현|金斗炫한국어 (대행) | 2023/5/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최성용|崔成勇한국어 (대행) | 임시 감독대행 | 2023/5/5 | 12위 | 김병수|金炳秀한국어 | 2023/5/4 |
전북 현대 모터스 | 김두현|金斗炫한국어 (대행) | 임시 감독대행 | 2023/6/8 | 7위 | 단 페트레스쿠|Dan Petrescuro | 2023/6/9 |
강원 FC | 최용수|崔龍洙한국어 | 계약해지 | 2023/6/15 | 11위 | 윤정환|尹晶煥한국어 | 2023/6/15 |
FC 서울 | 안익수|安益洙한국어 | 자진사임 | 2023/8/19 | 4위 | 김진규|金珍圭한국어 (대행) | 2023/8/2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김병수|金炳秀한국어 | 경질 | 2023/9/26 | 12위 | 염기훈|廉基勳한국어 (대행) | 2023/9/26 |
제주 유나이티드 | 남기일|南基一한국어 | 사임 | 2023/9/26 | 9위 | 정조국|鄭助國한국어 (대행) | 2023/9/26 |
6. 외국인 선수
AFC가 이번 시즌부터 챔피언스리그 외국인 쿼터를 기존 3(국적 무관)+1(AFC 소속)에서 5+1로 확대함에 따라 이에 부합하기 위해 2022년 10월 25일, 한국프로축구연맹 2022년도 제7차 이사회에서 팀마다 보유할 수 있는 외국인 선수들도 5+1로 결정하였으며, 기존에 있었던 동남아 쿼터는 폐지되었다.[1] 다만,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외국인 선수들은 기존대로 3+1 규칙을 적용하여 최대 4인까지 가능하다.[1]
클럽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선수 4 | 선수 5 | 아시아 선수 |
---|---|---|---|---|---|---|
강원 FC | 제페르송 페르난두 이시디우|갈레고pt | 마르코 투치|강투지cnr | 야고 카리엘로|야고pt | 빅토르 가브리엘|가브리엘pt | 웰링턴 주니어|웰링턴pt | 이크롬존 알리바예프|알리바예프uz |
광주 FC | 야시르 아사니|아사니sq | 토마스 베디넬리|토마스pt | 티모 레츠셰흐트|티모nl | 베카 미켈타제|베카ka | 애런 캘버|아론영어 | |
대구 FC | 세자르 페르난두 시우바 멜로|세징야pt | 이드가르 브루누 다 시우바|에드가pt | 바셀루스pt | 벨톨라pt | 스즈키 케이타|케이타일본어 | |
대전 하나 시티즌 | 레안드루 조아킹 히베이루|레안드로pt | 티아고 오로보|티아고pt | 안톤 크리보추크|안톤uk | 블라디슬라우스 구트코우스키스|구덱lv | 이시다 마사토시|마사일본어 | |
FC 서울 | 오스마르 이바녜스|오스마르es | 알렉산다르 팔로체비치|팔로세비치sr | 스타니슬라프 일류첸코|일류첸코de | 윌리앙 다 시우바 바르보자|윌리안pt | 비에른 마르스 욘센|비욘존슨no | 호삼 아이에시|아이에쉬a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보아두 맥스웰 아코스티|아코스티it | 호드리구 바사니 다 크루스|바사니pt | 페이살 물리치|뮬리치sr | 웨리크 포포|웨릭포포pt | 고즈카 가즈키|가즈키일본어 | |
수원 FC | 히카르두 로페스 페레이라|로페즈pt | 우고 고메스pt | 바우테르손 실바|바우테르손pt | | 라클란 잭슨|잭슨영어 | ||
울산 현대 | 발레리 카자이슈빌리|바코ka | 아담 머르틴|마틴 아담hu | 다리얀 보야니치|보야니치sv | 구스타브 루드빅손|루빅손sv | 에사카 아타루|아타루일본어 | |
인천 유나이티드 | 에르난지스 호드리게스 다 시우바|에르난데스pt | 폴조제 음포쿠 에분기|음포쿠프랑스어 | 제르수 페르난드스|제르소pt | 스테판 무고샤|무고사cnr | 해리슨 델브릿지|델브리지영어 | |
전북 현대 모터스 | 하파에우 다 시우바|하파엘pt | 안드레 루이스pt | 토마쉬 페트라셱|페트라셱cs | 나나 보아텡|보아텡ak | 아마노 준일본어 | |
제주 유나이티드 | 조나탄 링|링sv | 유리 조나탄|유리pt | 이스나이루 헤이스 시우바 모라이스|헤이스pt | | | ||
포항 스틸러스 | 완데르송 카르발류 지 올리베이라|완델손pt | 주제 조아킹 지 카르발류|제카pt | 오베르당 알리온코 데 리마|오베르단pt | | 알렉스 그랜트|그랜트영어 | ||
7. 경기 중계
KBS 1TV, KBS 2TV에서 각 라운드 당 1경기씩 녹화 중계하며, MBC와 SBS에서도 중계한다. 케이블/위성/온라인 중계는 JTBC 골프&스포츠 (각 라운드 당 2~3경기, 승강 플레이오프 중계), IB 스포츠 (각 라운드 당 1경기), 스카이 스포츠 (각 라운드 당 3경기, 승강 플레이오프 중계)에서 담당한다. 온라인 중계는 쿠팡플레이에서 독점 생중계하며, 유튜브에서는 한국을 제외한 지역에서 생중계와 하이라이트, 골 녹화 중계를 제공한다.[1]
8. 시즌 성적
2023년 K리그1은 정규 시즌 33경기와 순위 결정 리그 5경기를 합쳐 총 38경기로 진행되었다. 각 팀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구단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울산 HD | 38 | 23 | 7 | 8 | 63 | 42 | +21 | 76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 |
2 | 포항 스틸러스 | 38 | 16 | 16 | 6 | 53 | 40 | +13 | 64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1] |
3 | 광주 FC | 38 | 16 | 11 | 11 | 47 | 35 | +12 | 59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1] |
4 | 전북 현대 모터스 | 38 | 16 | 9 | 13 | 45 | 35 | +10 | 57 | AFC 챔피언스리그 2 조별 리그 진출 |
5 | 인천 유나이티드 | 38 | 14 | 14 | 10 | 46 | 42 | +4 | 56 | |
6 | 대구 FC | 38 | 13 | 14 | 11 | 42 | 43 | -1 | 53 | |
7 | FC 서울 | 38 | 14 | 13 | 11 | 63 | 49 | +14 | 55 | |
8 | 대전 하나 시티즌 | 38 | 12 | 15 | 11 | 56 | 57 | -1 | 51 | |
9 | 제주 유나이티드 | 38 | 10 | 11 | 17 | 43 | 49 | -6 | 41 | |
10 | 강원 FC | 38 | 6 | 16 | 16 | 30 | 41 | -11 | 34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
11 | 수원 FC | 38 | 8 | 9 | 21 | 44 | 76 | -32 | 33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
1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8 | 8 | 9 | 21 | 35 | 57 | -22 | 33 | 2024년 K리그2 강등 |
8. 1. 최종 순위
순위 | 구단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울산 HD | 38 | 23 | 7 | 8 | 63 | 42 | +21 | 76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 |
2 | 포항 스틸러스 | 38 | 16 | 16 | 6 | 53 | 40 | +13 | 64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1] |
3 | 광주 FC | 38 | 16 | 11 | 11 | 47 | 35 | +12 | 59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본선 리그 진출[1] |
4 | 전북 현대 모터스 | 38 | 16 | 9 | 13 | 45 | 35 | +10 | 57 | AFC 챔피언스리그 2 조별 리그 진출 |
5 | 인천 유나이티드 | 38 | 14 | 14 | 10 | 46 | 42 | +4 | 56 | |
6 | 대구 FC | 38 | 13 | 14 | 11 | 42 | 43 | -1 | 53 | |
7 | FC 서울 | 38 | 14 | 13 | 11 | 63 | 49 | +14 | 55 | |
8 | 대전 하나 시티즌 | 38 | 12 | 15 | 11 | 56 | 57 | -1 | 51 | |
9 | 제주 유나이티드 | 38 | 10 | 11 | 17 | 43 | 49 | -6 | 41 | |
10 | 강원 FC | 38 | 6 | 16 | 16 | 30 | 41 | -11 | 34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
11 | 수원 FC | 38 | 8 | 9 | 21 | 44 | 76 | -32 | 33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
1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8 | 8 | 9 | 21 | 35 | 57 | -22 | 33 | 2024년 K리그2 강등 |